앞서 말했듯이 우리가 미국에 도착한 1995년 4월 1일은 토요일이었다.
우리 가족은 사업과 생필품을 살 시간조차 없었다.
일요일. 온 가족이 늦잠을 잤고 예배를 드리기에는 너무 늦은 것 같았습니다.
다음 주에 옆집에 사는 부장님의 집에서 알려준 주소에서 교회를 찾았습니다.
잉글우드라는 작은 마을이었는데 돌아보니 교회가 보이지 않고 거의 11시가 다 되어가니 교회 간판이 보였다.
표지판을 따라가면 비교적 큰 교회가 나오는데 교회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교회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교회 분위기가 좀 이상하다.
교회에는 젊은 사람들이 많았는데 앞에 흰 옷을 입은 여자가 이끄는 모든 사람들이 일어나서 진지하게 찬송을 불렀습니다.
영사기에 흘러나오는 찬송 가사는 주님께서 사탄을 물리치시고 성도들이 나아가는 전투와 승리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한동안 찬양이 이어지자 하얀 옷을 입은 여인이 플라스틱이나 크리스탈로 된 투명한 단상 앞에 서서 기도를 인도하고 설교를 시작했다.
“아, 저 여자가 신부야?”
흰 옷을 입은 여자는 목소리가 맑았고 설교 내용은 주님이 사탄의 머리를 무덤에서 박살내시고 죽음에서 승리하여 부활하셨다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 교회가 평범한 교회가 아니기를 바랍니다.
설교 후 기도시간에 나는 아내의 등을 토닥여 주고 아이들과 함께 교회를 나왔다.
미국에서 우리 가족의 첫 번째 주일 예배였습니다.
그 다음 주에 나는 침례 교회를 찾아 멀리 북쪽으로 여행했습니다.
작은 교회라 미국 교회를 빌려 오후에 예배를 드렸는데 저희 가족은 포트리에서 오기 때문에 목사님이 멀리 가지 말고 가까운 교회를 찾아오라고 하셨습니다.
그 다음 주에 저는 더 서쪽에 있는 또 다른 침례 교회를 방문했습니다.
교회와 예배 분위기는 괜찮은데 집에서 너무 멀고 왔다갔다 하기가 번거롭습니다.
그 다음 주에 나는 이전에 소개되었던 잉글우드 교회로 돌아갔다.
이번에는 길을 잃지 않고 교회를 찾았습니다.
교회도 미국식 교회를 빌려서 미국식 예배가 끝나고 오후에 예배를 드렸는데 인원은 10명도 채 되지 않았고 독일에서 신학을 공부한 목사님이 혼자 피아노를 치며 찬양을 인도한 것 같아요. 아내와 나는 할 수 있지만 아들과 딸이 너무 많이 갔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가족은 몇 달 동안 교회에서 교회로 이동하면서 이렇게 걸었습니다.
그러다 Fort Lee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감리교회를 발견했습니다.
그 교회도 미국교회를 빌려서 오후예배를 드렸는데 아이들 포함 인원이 100명이 넘고 중고등학생도 있어서 가족들이 ‘침례교회가 아니면 어떨까’ 생각하다가 결국 그 교회를 다녔다.
정기적으로.
미국 이민 사회에는 교회가 낯설고 낯설게 느껴지는 곳이 많다.
대부분의 한인교회는 숫자가 적고 미국교회를 빌리고 있는데, 빌린교회는 오후에 예배를 드리는데 그 안에 이상한 이단교회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다음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Dorac과 같은 전투적인 메시아 교회 또는 일종의 복음주의 교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진지동의 이단교회, 구원파, 금사금치교회까지 이민사회 구석구석까지 파고든 것 같다.
한국 교회가 세운 신학교도 많다.
한국의 교단과 대형교회들은 신학교 설립과 목회자 양산 경쟁을 벌이는 모습이다.
더군다나 한인 교회와 신학교는 미국 유학 상황을 해결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인 것 같습니다.
이 통화는 벨아틀란틱이 독점했고, 한국으로 거는 통화료는 분당 최대 3달러였다.
전화 요금으로 수십 달러가 청구되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반독점법으로 인해 Bell Atlantic의 전화 사업은 Verizon, AT&T 및 Sprint를 비롯한 여러 전화 회사로 분할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매우 비쌌던 국제전화 요금이 저렴해지기 시작했다.
미국의 공중전화는 나에게 악몽이다.
당시 한국에서는 휴대폰에 전화카드를 꽂아 전화를 걸었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다.
한번은 뉴어크 공항에 가서 전화카드를 사고 공중전화를 갔는데 아무리 봐도 전화카드가 있는 전화기가 없었다.
한참을 헤매다가 전화 카드에 적힌 작은 글씨를 읽고 어디로 전화를 걸 수 있는지 알려주는 전화번호를 찾았다.
그 전화번호는 중계 회사의 전화번호입니다.
번호를 누른 후 다시 걸고 싶은 번호를 눌러야 합니다.
그러면 전화카드 구매 금액이 통화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줄어듭니다.
국제전화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도 국내전화를 거는 것보다는 저렴해서 그 이후로 집에서 전화카드로 한국에 전화를 걸고 있습니다.
뉴저지의 전기 유틸리티는 전기와 도시 가스를 모두 제공하는 PSE&G입니다.
1999년경 전기세는 킬로와트시당 12센트 정도였는데 우리가 사는 중국집은 낡고 단열이 잘 안되어 여름에 옥상에서 나오는 더위에 숨이 막힐 지경이었는데 에어컨이 있어서 전기세가 더 나갔다.
한 달에 $300 이상. 청구서가 나왔고 우리는 겨울에 차갑게 유지하면서 가스를 난방하기 위해 한 달에 $ 300 이상을 지불했습니다.
당시에는 내가 그런 줄 알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낡은 구두쇠처럼 중국집에 살면서 에너지와 돈을 낭비하고 있었다.
27년 후인 2022년 뉴저지의 PSE&G는 전력의 거의 70%를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어 전기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았습니다.
50% 증가? 그러나 뉴욕 전력회사인 콘 에디슨은 원자력 발전과 재생 에너지를 위해 인디언 포인트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했기 때문에 전기 가격이 뉴저지의 약 3배나 급등했습니다.
뉴욕주의 2,000만 명의 주민들은 이제 원자력 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95년에 우리는 Leonia에 있는 한국 선물 가게에서 $310에 Sony TV를 구입하여 거실에 설치했습니다.
나는 Palisades Park에 있는 케이블 회사에 지원했고 그들은 한 달에 수백 달러에 케이블 박스를 설치했습니다.
우리가 시청할 수 있는 TV 프로그램은 CNN, NBC, FOX 및 일부 예능 프로그램과 같은 채널이며 HBO와 같은 채널은 시청하지 않으며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케이블 채널은 한국 방송을 한두 번 내보내고, 한국 방송사는 한국에서 뉴스나 연속극 방송을 녹화해서 대한항공에 테이프를 보내고 JFK로 가서 픽업을 하기 때문에 항상 하루 늦게. 뉴스가되었습니다.
한국일보도 나왔고, 중앙일보와 조선일보가 뒤늦게 합류했는데 월 사용료가 20~30달러 정도 되는 것 같다.
한국에서 발행되는 신문은 미국에서 발행되는 현지판 신문이 삽입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하루나 이틀의 시차를 두고 항공으로 발송되며, 이 기간 동안 News는 구식이 되었습니다.
포트나 팰리세이드 파크에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비디오 가게가 많다.
부지런한 한국인들은 한국 드라마를 보기 위해 매주 수십 개의 비디오테이프를 빌린다.
한국 시장에 가면 한인 기업 광고와 한인 커뮤니티에서 발행하는 신문, 잡지 등을 모아 만든 ‘교차로’라는 브로슈어도 있다.
식당, 세탁소, 델리, 이발소, 미용실, 네일샵, 부동산, 보험, 교육기관, 선물가게, 옷가게, 컴퓨터가게 등 한국인이 운영하는 각종 업소 및 상점의 광고 교차로 입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가게.
지금은 ‘H마트 하나름’이라는 한인슈퍼마켓이 그 지역의 한인 커뮤니티를 점령하면서 당시 최대의 식품슈퍼마켓이 되었다.
장씨시장은 이 지역에서 한국시장 최초로 돈을 많이 번 장터인데 정말 강도들에게 죽었는지 모르겠습니다.
Fort Lee에서 Atlantic City 카지노까지 무료 버스가 매일 운행됩니다.
당시에는 애틀랜틱시티 카지노에 재산을 기부한 한국인들이 많았지만, 거의 30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어쨌든 3년이라는 한정된 기간 동안 회사 월급을 받고 귀국하는 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그 가족의 삶은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같을 수 없다.
그들 자신. Fort Lee 지역에는 많은 한국 전력 회사뿐만 아니라 많은 한국 지상 회사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의 많은 수의 국외 거주자 및 국외 거주자 가족은 이민자 사회 경제의 매우 중요하고 큰 부분을 구성합니다.
우리 가족이 다닌 교회에서도 같은 교회 식구들 사이에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와 분열이 있는 것 같았고, 학교 다니는 아들과 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들은 대학에 가려고 독학을 하려는 것 같지만 학교에서는 이른바 아이들과 사이좋게 지내고 딸은 학교에서 취주악단에서 플루트를 연주하지만 많은 한국학생들과 어울리는 것 같고, 그가 소통할 수 있는 사람. 아내와 나는 아이들을 위해 조금 더 북쪽에 있는 한인 인구가 적은 지역으로 이사하면 좋겠지만 이사가 생각만큼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우리 가족이 만나 친분을 쌓은 교인 중에는 외국인과 현지 교포도 있었다.
80년대 초반에 한 이민자가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비행기로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을 때 공항에서 영주권을 주었다고 들었습니다.
뉴욕에 와서 작은 가게를 차려 큰 돈을 벌었고, 어린 기분으로 흥겹게 보냈다고 한다.
그는 나중에 정신을 차리고 델리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를 괴롭히는 것 중 하나는 미국의 뒷골목과 상업 지구가 마피아에 의해 점령되고 어떤 장사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한 한국인은 알래스카에서 연어를 대량으로 사고 팔아 돈을 벌었고 뉴욕 연어 가격이 왜 이렇게 비싼지 물었다.
한 부부가 생선가게에서 일하며 근근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남편과 나는 한동안 교회 재정부에서 기부금 집계를 위해 일했지만 목사님의 월급과 주거비, 보험료가 너무 높아 시험을 마치고 교회를 떠났다.
또 다른 부부는 작은 빨래방을 운영하는데 내가 갔을 때 그들은 거의 홍콩식 영어로 미국인 손님들을 상대하고 있었다.
교인들을 위해 집들이를 한 또 다른 부부는 남편은 흑인 동네에서 세탁소를 운영했고 아내는 우체국에서 일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세탁소가 예전 같지 않다고 말했다.
1980년대까지 한국인들은 돈을 벌기 위해 세탁소를 열고, 집을 사고, 자녀를 대학에 보내고, 단돈 1달러로 안락한 삶을 살았습니다.
그리고 Kuaishou는 그들이 세탁 사업을 하고 있고 매출이 증가했으며 세탁된 옷을 팔아 많은 돈을 벌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에 온 많은 한인들이 마땅한 업소가 없어 셀프 빨래방을 무작정 인수하고 한국에서 가져온 돈을 다 잊고 아침부터 밤까지 고생했다.
한국인의 또 다른 큰 문제는 이민 신분입니다.
처음에는 이민이나 영주권 취득이 쉬웠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이민의 문이 좁아지고 영주권 취득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미국에서 취업비자, 유학비자, 종교비자, 영주권을 취득하는 길이 험난하고, 관광비자로 입국해 줄줄이 앉는 불법체류자들도 적지 않다고 한다.
어쨌든, 미국에서 3년을 살다가 돌아온 외국인들에게 그런 이야기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슬픈 이야기일 뿐입니다.
아내는 사무총장 사모님, 부장 사모님과 가끔 밥을 먹거나 쇼핑을 하기도 하고, 교회에서 만나는 성도들과 어울리기도 합니다.
그녀는 같은 블록에서 자신의 손을 잡고 차에 태워 집으로 데려다주는 한국 남자를 만나서 기쁘다고 말했다.
뉴욕 영사가 살았던 집은 듀플렉스라는 3층짜리 집이었는데, 우리가 살던 초라한 집보다 별로 나을 게 없었다.
우리 집의 월세는 한 달에 1,500달러이고 집값은 3,000달러 정도라고 합니다.
정부가 지불하는 생활비와 주거비는 우리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것 같습니다.
저와 제 아내도 그곳에 갔고 부부는 함께 저녁을 먹고 뉴욕 영사관으로 가는 길에 영사를 만났습니다.
“하 공무원은 영사 하러 나오는데 영어가 너무 서투르다.
”
몇 년 후 영사 가족은 스웨덴으로 이직했고, 20년이 지난 지금도 가끔 상당한 연금을 받는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한전 뉴욕지사 직원들이 처우도 나쁘고 비참한 삶을 사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막상 공무원이나 대기업 못지않다.
특히 임대료가 저렴합니다.
원장은 약 2000위안, 과장과 과장은 약 1500위안으로 묶인 채 허물어진 집 2층까지 간신히 갈 수 있었다.
.
나는 공무원이나 대기업 수준은 아니지만 미국에서 3년 생활을 즐길 수 있다.
그 결과 남편들은 주말마다 저렴한 그린피로 퍼블릭 골프장에서 골프를 칠 수 있고, 아내들은 서로 어울려 작은 그릇과 컵, 헤스터 저그, 옷, 스카프 등 생활용품과 선물을 사서 집으로 가져갈 수 있다.
돌아다닐 수 있을 때, 귀가할 때 커피나 초코과자 등의 선물이 주류이며 그릇, 컵, 스카프, 목도리 등의 귀중품도 흔하다.
세월이 흐르고 또 이듬해가 되어 집에 돌아오니 아이들의 일이 걱정되기 시작했다.
아들이 먼저 미국에 가서 대학에 진학하고 나중에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편입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렇게 생각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딸 입장에서는 중학교 2학년 때 미국에 와서 1년을 유예했다가 한국으로 돌아오면 고등학교 1학년으로 진급하는 것이다.
영어와 한국어가 모두 모호해졌기 때문이다.
이것은 외국인 가족들의 공통된 관심사인 것 같습니다.
한국 학교는 그러한 외국인 가족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그는 매주 토요일 한국 어린이들을 위한 한국어 학교를 열었고, 티넥이라는 마을의 고등학교 교실을 빌려 아이들에게 한국어 중학교 교과를 가르쳤고, 아이들은 교대로 경비원과 관광 안내원으로 일했다.
토요일마다 딸아이를 한국어 학교에 보내고 아내는 몇 차례 순회 가이드 봉사를 해왔다.
딸아이가 일주일은 미국학교, 토요일은 한국학교를 다니는데 아무말도 안했는데 정말 힘든 시간이였나봐요.
이렇게 미국에서 해외 생활 3년이 지났습니다.